1. Github repository 생성
2. Access token 생성
Settings > Developer Settings > Personal access tokens > github 접근 옵션 설정 후 토큰 생성
생성 된 토큰은 개인공간에 미리 복사해 두기
3. Colab 연동
3.1. Colab 생성 및 Google drive mount
Colab 파일 생성 후 아래 파이썬 명령어를 실행하여 Google drive를 mount 수행.
추후 Github 연동을 위한 경로도 복사해 두기 (Mount 된 Google drive 디렉토리 구조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"경로 복사" 선택)
# 실행 (Ctrl+Enter)
from google.colab import drive
drive.mount('/content/drive')
* 테스트에선 /content/drive/MyDrive/Colab Notebooks 에 데이터를 받고 관리할 것이므로 경로 이동
cd /content/drive/MyDrive/Colab Notebooks
3.2. Github repository clone
Git clone 수행 후 지정한 경로에 Repository가 생성됨을 확인
!git clone https://(username):(access token)@github.com/(username)/(repository name).git
3.3. Github commit을 위한 정보 입력
Github email, id 설정
!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'(user email)'
!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'(user name)'
4. 연동 Test
위 경로 하단에 신규 파일 생성 > 다시 Google drive mount > Github email, id 입력 > Git add or commit
- Add
!git add test_upload.ipynb
- Commit
!git commit -m "test upload"
!git push
- Github repository에서 확인
반응형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evOps업무, CI/CD, 그리고 관련 툴 (0) | 2024.11.19 |
---|---|
[Cloud] AWS 주요 서비스 (3) | 2024.11.12 |
REST란? - REST API, RESTful (0) | 2021.11.24 |
MSA 란? (0) | 2021.11.21 |
DevOps란? CI/CD란? (0) | 2021.06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