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시사교양

메타버스(Metaverse) 란?

 

 

1. 메타버스 (Metaverse)

1.1. 개념

- Meta(가상) + Universe(세계) = Metaverse (가상세계)

(* 1992년 닐 스티븐슨의 소설 <스노우 크래쉬>에서 처음 당장한 개념과 영어)

 

1.2. 정의

- 가상의 3차원 공간과 현실이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공간

(* 뚜렷한 정의가 확립되지 않음)

 

 

2. 메타버스 유형

(* 아래는 비영리 기술 연구 단체 ASF(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)에서 정의)

2.1. 증강현실 (Augmented Reality)

- 현실공간에 가상 그래픽을 겹침

- 예: 프롭테크

 

2.2. 일상기록 (Lifelogging)

- 일상에서 보고 듣고 느낀 모든 정보를 기록, 공유

- 온라인상에서의 나

- 예: SNS (인스타그램, 유투브 등)

 

2.3. 거울세계 (Mirror Worlds)

- 실제 세계에 추가 정보를 결합해 확장한 세계

- 예: 구글 어스

 

2.4. 가상세계 (Virtual Worlds)

- 현실과 유사하거나 와전히 다른 디지털 세계

- 예: 온라인 RPG 게임(마인크래프트, 세컨드 라이프, 제페토 등)

 

 

3. 비판

  • 용어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
    - 메타버스는 이미 등장한 온라인게임, SNS, 메신저, 증강현실과 기술적, 서비스적으로 차별화가 없다.
  • 현실이 디지털 세계로 종속될 것이라는 의견
    - 사이버 세상이 모든 사회적, 경제적 활동을 대체할 것이라는 의견은 많았으나 가상환경이 현생을 대체할 만큼 크게 작용하지 않았다.
  • 묻지마 투자
    - 정부기관과 기업에서 용어를 남용하며 트렌드를 반영하는 듯 투자 유치를 받는 현실
    - 투자를 받기 위한 저질 컨텐츠의 양산
  • 기존 IT 서비스와의 차이점이 없음
    - 위 언급한 메타버스 네가지 유형의 예가 해당 용어를 사용하기 이전에 이미 서비스 하고 있음
  • 법적, 윤리적 문제
    - 사이버 공간에서의 법/윤리적 체계가 허술하여 불법적인 행위(예: 도박, 불법 재화 거래 등)가 성행

 


참고

메타버스 - 위키피디아

메타버스/비판 - 나무위키

 

 

 

메타버스 컨텐츠 예시

더보기

1. 로블록스 (LOBLOX)
- 마인크래프트가 SW계의 레고 였다면, 로블록스는 진짜 레고캐릭터 같은 느낌을 더 줌

- 마인크래프트와 별 차이는 없어 보임

- 미국에서 인기

- 관련링크: 왜 로블록스에만 유독 기업들로 붐빌까?

출처: 경향신문 

 

2. 제페토 (ZEPETO)

- 네이버에서 제작

- 국내에서 주로 이용

- 사이버 명품 컨텐츠로 뉴스에서 노출되기 시작

- 관령링크: https://namu.wiki/w/ZEPETO

 

3. 마인크래프트

- 메타버스를 필두로 나온건 아니지만 해당 용어와 가장 부합한 대표격

 

4. 디센트럴랜드

- 블록체인 기반

- NFT 연결 - 최근 51억에 사이버 land 가 팔리면서 유명해짐

- 관련링크: https://brunch.co.kr/@sehi0315/170

반응형

'시사교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FT 란?  (1) 2021.12.07